환자를 우선하는 병원 강동연세병원
테니스 엘보우와 골프 엘보우(Tennis elbow/Golf elbow)는 팔꿈치 주변의 통증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질환입니다. 테니스 엘보우는 팔꿈치 외측에서 발생하며, 골프 엘보우는 팔꿈치 내측에서 발생합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각각은 테니스와 골프와 같은 스포츠 활동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둘 다 반복적인 팔꿈치 운동이나 흔들림, 진동 등과 같은 반복적인 활동이 원인으로 팔꿈치 주변의 근육과 건강한 힘줄들이 상처를 입어 염증이 발생합니다.
치료는 대개 팔꿈치와 손목의 안정, 물리 치료, 항염증 약물 및 콜라겐 치료제나 프롤로 증식치료, 체외충격파 치료, 힘줄을 치료하기 위한 운동, 보조기 등으로 이루어집니다. 팔꿈치 주위에 석회 침착이 심하거나 인대의 파열이 동반되어 있어 보존적 치료에 불응하는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합니다. 치료 후 다시 스포츠 활동을 시작하기 전에 팔꿈치 운동 재교육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주두낭(Olecranon bursa)은 팔꿈치 뒷부분에 위치한 작은 낭종입니다. 이 낭종은 뼈와 피부 사이에 있으며, 주두(팔꿈치뼈)를 외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역할을 합니다.
주두낭염은 이 주두낭에 염증이 생겨 발생하는 질환으로, 종종 팔꿈치 부상이나 지속적인 압력, 감염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주두낭염의 증상은 주두 부분이 붓거나 물이 차고, 빨갛게 변할 수 있으며, 종종 뼈 주변이 아프거나 따가울 수 있습니다.
감염된 경우에는 붓기, 통증, 열감 등의 증상이 더욱 심하게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주두낭염은 증상이 가벼운 경우 대개 쉬는 것만으로도 치료될 수 있지만 증상이 심한 경우 약물 치료, 주사 치료, 물리치료, 수술 등의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주두낭염이 반복적으로 발생할 경우 원인을 찾아내어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척골신경증후군(Ulna tunnel syndrome)은 팔꿈치 안쪽 부위에 있는 척골 신경이 압박을 받아서 생기는 질환입니다.
이 신경은 팔에서 손가락까지의 기능을 담당하는 중요한 신경 중 하나이며, 증후군이 생기면 손가락의 감각과 움직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4,5 손가락의 저림, 동통, 팔꿈치 부분의 불편감 등이 있습니다. 또한 척골 신경이 위치하는 팔꿈치 내측 부분을 자극시 증상이 유발, 악화되기도 하며 증상이 악화되면 손가락을 움직이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척골신경증후군은 일반적으로 팔꿈치의 반복적인 운동이나 직접적인 외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예방 방법으로는 반복적인 움직임을 피하고, 적절한 스트레칭 및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치료 방법으로는 질환 초기에는 약물치료, 물리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며 진행된 질환의 경우 수술적 치료(척골신경 감압술 및 전방전위술)를 고려합니다.
따라서, 증상이 나타나면 적절한 치료를 위해 전문의를 방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가이언 터널 증후군(Guyon's tunnel syndrome)은 손목의 가이언 터널이라는 좁은 통로 안에서 척골 신경이 압박되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가이언 터널 증후군의 주요 증상으로는 4,5 손가락의 통증이나 저림 현상, 피로감, 그리고 손가락의 능력이 감소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증상은 가이언 터널 안에서 흐르는 척골 신경이나 혈관이 압박되어 생기는 것입니다.
가이언 터널 증후군의 원인으로는 손목 부상이나 지속적인 압박 등이 있습니다. 또한, 결절종과 같은 터널 내의 기질적인 문제로 인해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이언 터널 증후군은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대부분 완치될 수 있습니다. 치료 방법으로는 약물치료, 물리치료, 수술적 치료(신경감압술)등이 있으며, 치료 방법은 환자의 증상과 원인에 따라 결정됩니다.
손목 터널 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은 손목 위쪽에 있는 손목 터널이 좁아져서 손목의 중앙에 있는 정중 신경이 압박되어 발생하는 신경 질환입니다. 정중 신경은 1,2,3 손가락의 느낌을 전달하고 손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질환은 환자가 잠들기 전 또는 잠에서 깨면서 손이 저리거나 아프다는 느낌, 5수지 외의 나머지 손가락, 손바닥의 둔한 느낌, 손목 주변의 불편감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또한, 손목 근처의 근육(무지구근)이 약해지는 것으로 인해 물건을 잡거나 손가락을 움직이기 어려워질 수도 있습니다.
손목 터널 증후군의 원인으로는 손목 골절, 손목의 반복적인 사용, 과도한 압력, 관절염 등이 있습니다. 치료 방법으로는 질환 초기에는 보조기 사용, 약물 및 주사 치료, 물리 치료 등이 있으며, 진행된 질환의 경우 손목 터널을 덮고 있는 횡수근 인대를 절개해 주는 간단한 수술적 치료를 통해서 치료할 수 있습니다.
손목 터널 증후군의 조기 발견과 치료가 중요하며, 무시하면 신경 손상으로 인한 장기적인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척골 충돌 증후군(Ulna impaction syndrome)은 손목 관절에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척골과 수근골 사이에서 충돌이 일어나서 손목을 사용할 때 통증이나 불편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원인으로는 손목의 과사용, 과도한 부하, 손목 골절 등이 있으며 요골보다 척골이 상대적으로 길게 관찰되는 척골 양성 변이 손목(positive variance)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이러한 원인으로 인해 척골과 수근골이 충돌하면서 사이에 위치하는 삼각섬유연골 복합체(TFCC)의 손상이 발생하여 염증이 동반될 수도 있습니다.
치료법으로는 물리 치료, 항염증제, 손목보호대 사용, 수술 등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척골 충돌 증후군의 초기 단계에서는 비수술적인 치료로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이 우선입니다. 그러나 증상이 심한 경우 수술을 고려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흔한 수술 방법 중 척골 단축술 (ulna shortenning osteotomy operation)이 있습니다.
삼각섬유연골 복합체(TFCC)는 손목에서 척골과 수근골 사이의 연골과 인접한 부위에 위치한 조직입니다. 이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섬유 조직과 연골 조직으로 이루어진 복합 조직으로 손목의 움직임을 돕고 있으며, 손목을 회전하거나 손목에 심한 압박이 가해질 때 손목을 지지하고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TFCC 파열은 손목 부상이나 강한 압박, 손목의 과도한 회전, 불균형한 근육 사용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증상으로는 손목 통증, 손목 운동 범위 제한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치료는 증상의 심각성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되며, 물리 치료, 안정화를 위한 고정, 통증 완화를 위한 약물 치료, 주사 치료 등이 시행될 수 있습니다. 때로는 수술을 통해 손목을 안정화하는 조치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척골 단축술(Ulna shortenning osteotomy operation)은 척골 양성변이 손목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술입니다. 이 수술은 척골의 길이를 짧게 만들어 손목 뼈의 균형을 맞추어 손목을 안정시키는 치료법이며 단축 교정술을 통해 손목 관절의 부담을 줄여서 통증 조절 및 염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수술 후 꾸준한 관절 물리 치료를 통해 정상적인 손목 기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수술의 경우 항상 모든 환자에게 적용 가능한 것은 아니므로, 개별적인 상담과 검사를 거친 후 의사와 함께 진행할지 결정해야 합니다.
드 꿰르뱅씨 병(De Quervain's disease)은 엄지 손가락 쪽 손목에 있는 힘줄(단무지 신전건, 장무지 외전건)과 그 힘줄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힘줄막에 염증이 생기면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주로 손목과 엄지손가락 부근에서 통증과 함께 손가락 움직임에 제한을 느끼게 됩니다. 원인은 일상적인 반복적인 손목 운동이나 부상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질환은 육아하는 엄마들에게서 종종 발병하여 "Baby Wrist(아기 손목)" 이라고도 불리는 염증성 질환입니다.
치료 방법으로는 대개는 수술이 필요하지 않으며, 휴식과 얼음 찜질, 소염제 및 주사, 보조기를 활용한 보존적 치료를 시도합니다. 만약 보존적 치료가 효과적이지 않거나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간단한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수술은 염증을 일으키는 막을 절개하여 엄지 손가락 힘줄이 주행하는 공간을 더 넓게 만들어 주는 수술 방법이 주로 사용됩니다.
방아쇠 손가락(Trigger finger)은 손가락을 구부리고 펼 때 소리가 나며 병이 진행된 경우에는 손가락을 구부리거나 펴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방아쇠 손가락은 손가락을 구부리는 힘줄 주위 조직이 염증이나 경화로 인해 붓고 두꺼워지면서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손가락을 움직일 때 힘줄이 갑자기 넘어가거나, 잡히는 것 같은 느낌이 생겨 소리가 발생하게 됩니다.
초기의 방아쇠 손가락은 일반적으로 수술 없이 치료가 가능하나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수술은 힘줄이 지나가는 A1활차를 넓혀줌으로서 손가락 움직임을 원활하게 해주는 것입니다. 최근에는 질환의 진행 정도에 따라 기존의 피부 절개 수술 방법에 비해 더욱 빠르고 정확한 방법으로 흉터가 적게 남으며, 수술 부위의 손상도 최소화할 수 있는 수술이 가능합니다. 피부 절개를 하지 않아 수술 다음날부터 손을 씻을 수 있으며 일상 생활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수술 여부에 대해서는 전문의와 상담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월, 수, 금 : 오전9:00 ~ 오후9:00
화, 목 : 오전9:00 ~ 오후5:30
(점심 : 오후12:30 ~ 오후1:30 / 저녁 : 오후6:30 ~ 오후7:00)
토/일/공휴일 : 오전9:00 ~ 오후5:00 (점심 : 12:30 ~ 13:30)
병원 위치 : 서울특별시 강동구 올림픽로 734(천호동 315-2) 강동연세병원 / 대중 교통 : 간선 340, 지선 3318, 3411, 지하철 (8호선 암사역 2번출구)
평일 : 월, 수, 금 : 오전9:00 ~ 오후9:00 / 화, 목 : 오전9:00 ~ 오후5:30
(점심시간 : 오후12:30 ~ 오후1:30 / 저녁시간 : 오후6:30 ~ 오후7:00)
토/일/공휴일 : 오전9:00 ~ 오후5:00 (점심시간 : 12:30 ~ 13:30)
(2,4주 토요일 09:00~12:30 / 2,4주 일요일 휴진)